지방계약제도 세미나·워크숍 및 방문상담 컨설팅 |
민관 협업체계에 의한 세미나, 워크숍을 통한 계약제도 개선방향 도출 |
지방계약 취약 지자체에 대한 현장 자문 및 컨설팅 집중관리 지원 |
지방계약 취약 지자체에 대한 현장 자문 및 컨설팅 집중관리 지원 현황
연도 |
일자 |
장소 |
주제 |
2023년 |
8.18 |
전남 순천시 |
지방정부의 전략적 조달 |
11.24 |
건국대학교 |
지방정부의 공정조달 |
4.27-28 |
전남 순천시 |
지방계약 담당자 워크숍 |
상반기 |
함평군 등 |
19개 지자체 / 1,845명 |
하반기 |
의왕시 등 |
18개 지자체 / 1,580명 |
2022년 |
6.23 |
전남 여수시 |
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공조달 |
8.25 |
전북 남원시 |
지방계약 전용 전자조달 플랫폼 활성화 방안 등 |
상반기 |
김포시 등 |
6개 지자체 / 588명 |
하반기 |
가평군 등 |
5개 지자체 / 316명 |
2021년 |
4.1 |
지방재정회관 |
계약법과 규제법 등 |
6.23 |
부산광역시 |
자치분권시대의 분권조달 시스템 모색 |
12.10 |
지방재정회관 |
분권조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과제 등 |
상반기 |
강릉시 등 |
강원권역, 부산권역 / 200명 |
하반기 |
광주광역시 등 |
광주권역, 충남권역, 수도권역, 제주권역 / 245명 |
2020년 |
7.10 |
지방재정회관 |
지방조달과 국방조달의 비교 등 |
7.31 |
경상북도 울릉군 |
협상 및 수의계약 등 지방계약 제도해설 |
10.30 |
경기도 과천시 |
제한경쟁입찰 등 지방계약 제도해설 |
11.6 |
부산시 남구 |
낙찰자 결정 등 지방계약 제도해설 |
11.9 |
지방재정회관 |
해외조달제도 등 |
12.11 |
인천광역시 |
부정당제재 등 지방계약 제도해설 |
12.15 |
비대면 화상회의 |
지방계약법의 개정논의에 대한 공법적 검토 등 |
2019년 |
2.21 |
대구시 동구 |
지방계약 법령 해설 등 |
4.5 |
지방재정회관 |
민간위탁 기본법(안)이 지자체에 주는 함의 |
5.17 |
충청북도 영동군 |
지방계약 현안 즐의·응답 등 |
7.19 |
숭실대학교 |
지방정부의 민간위탁의 결정요인과 계약관리 연구 |
10.18 |
경기도 과천시 |
감사지적사례 해설 등 |
10.23 |
인천광역시 |
지방계약제도 해설 및 지출일반 |
11.6~8 |
경상북도 경주시 |
지방계약제도 개정사항 및 배경 설명, 제도개선방안 토론 |
11.15 |
경기도 광주시 |
감사지적사례 해설 등 |
11.22 |
대구시 동구 |
지방계약실무 및 판례 해설 등 |
12.19 |
지방재정회관 |
지방정부의 민간위탁 쟁점에 관한 연구 |
2018년 |
1.25 |
대전광역시 |
’18년 지방계약제도의 현안 및 전망 등 |
5.11 |
지방재정회관 |
턴키·대안입찰제도의 발전방안 등 |
5.11 |
한국행정연구원 |
지방계약전문기관의 과제 및 향후 발전 방안 |
7.19 |
홍익대학교 |
지방자치단체의 부정당업자제재에 대한 법적검토 등 |
9.14 |
대전광역시 |
지방계약법령 해설 |
9.18 |
홍익대학교 |
지방계약 분쟁조정위원회 활성화방안 등 |
10.30 |
충청남도청 |
지방계약 실무 및 판례 해설 |
11.22 |
전북 군산시 |
지방계약 분쟁관련 소송사례 등 |
12.19 |
홍익대학교 |
지방계약 민간위탁의 근거와 법적 쟁점들 등 |
|
지방계약 세미나 링크
|
|
해외 선진계약제도 연수 |
지자체 계약담당 공무원 현업적용 사례 발굴 등 지방계약제도 발전방안 모색 및 선진화 도모 |
 |
|
지방계약 e정보방 운영 |
다양한 지방계약관련 정보 수집·관리를 통한 지방계약DB 구축 |
지방계약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지방계약 전문기관 이미지 형성 및 허브역할 확충 |
|